본문 바로가기
일상 관심사

명품, 그 과시와 허영

by 민준민서아빠 2023. 12. 7.

지난달 11월 인천국제공항에서 4000만원 상당의 에르메스 가방의 분실 신고를 접수, 공항경찰단의 추적 끝에 항공사 소속 하청업체 1개조 (6명)이 근무할 당시 물품이 사라진것을 파악하고, 소속 직원들 추적해 "A" 씨가 피해 물품중 하나를 들고 공항 밖을 나서는 것을 확인 했다.
"A" 씨는 21년 11월 부터 지난달 6일 까지 총 200여 차례에 걸쳐 위탁수화물 속 명품가방, 귀금속 등 금풀을 훔쳐 3억 7300만원을 챙긴 혐의를 받는다.

위 사건은 명품에 대한 열광이 빚어낸 극단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명품은 고급스러움, 품격, 성공의 상징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이를 소유함으로써 자신의 사회적 지위나 경제력을 과시하고자 하는 심리가 작용합니다. 이러한 심리가 지나치게 강해지면, 과시와 허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명품에 대한 열광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현상입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명품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아서, 한국은 세계에서 명품 소비가 가장 활발한 국가 중 하나로 손꼽힙니다.

명품에 열광하는 문화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첫째, 명품은 고급스러움, 품격, 성공의 상징으로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명품을 소유함으로써 자신의 사회적 지위나 경제력을 과시하고자 하는 심리가 작용합니다.

둘째, 명품은 희소성과 독창성을 지닌 상품이기 때문입니다. 명품 브랜드는 엄격한 품질 관리와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고 있습니다. 따라서 명품을 소유함으로써 다른 사람과 차별화되고 특별한 존재가 되고 싶은 심리가 작용합니다.

셋째, 명품은 사회적 분위기와 문화적 영향에 의해서도 소비가 촉진되고 있습니다. 드라마, 영화, 예능 프로그램 등에서 명품을 착용한 연예인들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미지를 통해 명품은 더욱 매력적이고 부러운 대상으로 인식되게 됩니다.

명품 소비가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고용 창출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입니다. 또한, 명품은 문화와 예술의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명품에 대한 열광은 현대 사회의 다양한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물질 만능주의, 과시욕, 가계 부채, 환경 오염 등은 현대 사회가 직면한 주요 문제들입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명품에 대한 열광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명품에 큰 관심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부회장은 평소에 샤넬이나 루이비통과 같은 명품 브랜드의 옷이나 가방을 착용하지 않고, 의류는 주로 갤럭시 브랜드의 의류를 착용하고, 개인 소유의 차량으로 제네시스 G90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 부회장의 명품 소비 행태는 재벌들의 명품 소비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재벌들이 명품을 과시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명품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는 재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명품의 소유 여부가 아니라 자기애입니다. 명품은 단순한 물건일 뿐입니다. 명품을 소유한다고 해서 자신의 가치가 높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건강한 자기애를 가진 사람은 명품에 대한 욕구가 줄어들고, 자신의 내면에서 행복과 만족을 찾을 수 있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