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깔피7

일의 격 신수정 저 | 턴어라운드 | 2021년 07월 01일 이 책의 저자가 트위터/ 페이스북에 올린 글들을 책으로 출간 하였기에 글들이 1~2페이지로 읽기에 부담 없는 길이로 되어 있으며, 페이스북에 글 올리는 포맷을 그대로 유지 하여 책을 출간하여 매 문단마다 숫자로 번호가 매겨져 있다는 특징이 있다. 책 내용이 이론적이면과 현실적인 조언 들이 잘 균형을 이루고 있어서 책을 읽다보면 수긍 가는 부분이 많다 책 전체를 필사 하고 싶은 생각이 들 만큼 좋은 글들이 많지만, 책을 읽고 깨달은 점과 적용할 만한 점은 아래와 같다 [깨달은 것] 1. 학습의 방법: 처음엔 누구에게 배우고, 열심히 실행하고 실험하며 자신만의 스타일을 만들고, 그것을 통해 타인을 가르치거나 부가적인 생산물을 만든다 2. 평범한 일도 비범.. 2023. 11. 24.
생산적 책 읽기. 안상헌 저 | 북포스 | 2010년 02월 20일 이 책은 [어느 독서광의 생산적 책읽기 50] 이라는 독서방법에 관한 50가지 바람직한 제안에 대한 후속 보완의 책이다. 책은 자신의 성향과 수준에 맞는 책을 골라야 한다. “지금은 바뀌었지만 몇 년 전 아들의 꿈은 비행기 조정사가 꿈이었고, 그 꿈을 꽤 오랫동안 유지 하기도 했었다. 그런 아들이 한권의 책을 주문해 달라고 했었고, 백과사전 수준의 비행기 관련 책자 였다. 절반 정도 읽고 더 이상은 읽지 않기에 연유를 물어보니 책이 너무 어렵다는 것이다. 아들 생각엔 자기가 좋아하는 분야이니 어떻게든 읽고 싶었겠지만, 전문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그 책은 수준 높은 책 이었던 모양이다” 그런 책을 잘 고르지 못하는 이유는 자신을 잘 모르기 때문이다. 어떤 분.. 2023. 11. 23.
인재경영을 바라보는 두 시선 (인사의 핵심을 묻는 20문 40답) 정권택 등저 | 삼성경제연구소 | 2016년 10월 26일 이 책은 인재경영의 핵심적인 20개 주제를 두 가지 시각에서 비교하여 설명하고 있다. 전통적 시각은 인재를 기업의 자산으로 보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반면 현대적 시각은 인재를 기업의 동반자이자 자발적 파트너로 보고, 그들의 성장과 발전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전통적 시각 전통적 시각은 인재를 기업의 자산으로 보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이 시각에서 인재는 기업의 경쟁력과 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따라서 기업은 인재를 효율적으로 확보하고, 활용하고, 개발해야 한다. 전통적 시각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인재를 기업의 자산으로 인식함으로써, 인재를 중요시하.. 2023. 1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