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1997년 5월 11일, 마침내 알파고와 이세돌의 세기의 대결을 실시간으로 지켜보게 되었다. 알파고는 이세돌을 4승 1패로 꺾고, 세계 최초로 인간을 이긴 인공지능이 되었다. 당시 나는 인공지능이 인간을 이길 수 있을 것이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했다.
서론
알파고의 승리는 모라벡의 역설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모라벡의 역설은 컴퓨터 과학자 한스 모라벡이 1988년 저서 "생명과 인공지능"에서 처음 언급한 개념이다. 역설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인간에게 쉬운 것은 컴퓨터에게 어렵고, 반대로 인간에게 어려운 것은 컴퓨터에게 쉽다."
모라벡은 인간이 쉽게 처리할 수 있는 지각 및 감각 운동 작업이 컴퓨터에게는 훨씬 더 어려운 작업이라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인간은 쉽게 물체를 인식하고 손으로 잡을 수 있지만, 컴퓨터는 이를 위해 엄청난 양의 계산을 수행해야 한다.
알파고의 경우, 바둑은 인간이 쉽게 처리할 수 있는 지각 및 감각 운동 작업에 해당한다. 인간은 바둑판의 복잡한 패턴을 빠르게 인식하고, 수십수백 개의 후보 수를 고려하여 최선의 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컴퓨터는 이를 위해 엄청난 양의 계산을 수행해야 한다.
알파고는 딥러닝 기술을 사용하여 바둑을 학습했다. 딥러닝은 인간의 뇌를 모방한 기계 학습 기술로, 대량의 데이터를 통해 학습하여 복잡한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알파고는 바둑의 수십억 건의 경기 데이터를 학습하여, 인간을 능가하는 바둑 실력을 갖추게 되었다.
알파고의 승리는 인공지능이 인간 수준의 지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각 및 감각 운동 기술에 대한 상당한 발전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인공지능이 인간 수준의 지능을 달성하려면, 인간이 쉽게 처리할 수 있는 지각 및 감각 운동 작업을 컴퓨터가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문
모라벡의 역설은 인공지능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역설은 인공 지능이 인간 수준의 지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각 및 감각 운동 기술에 대한 상당한 발전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인공지능 연구자들은 모라벡의 역설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신경망 기술의 발전: 신경망 기술은 인간의 뇌를 모방한 인공 신경망을 사용하는 기술이다. 신경망 기술은 인간의 지각 및 감각 운동 능력을 모방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로봇 기술의 발전: 로봇 기술은 기계가 인간과 유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로봇 기술은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각 및 감각 운동 능력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물리적 기반을 제공한다.
머신 러닝 기술의 발전: 머신 러닝 기술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는 기술이다. 머신 러닝 기술은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각 및 감각 운동 능력을 학습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공지능 연구자들은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모라벡의 역설을 극복하고, 인간 수준의 지능을 가진 인공지능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모라벡의 역설은 인공지능의 발전에 대한 중요한 도전 과제이다. 그러나 역설은 인공지능 연구자들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인공지능의 발전을 가속화하는 동기를 부여하는 요소이기도 하다.
시사점은 향후 인간이 가질 직업의 종류이다. 대부분의 직업들은 인공지능에 그 자리를 넘겨 줘야 한다는 것은 이미 몇해전부터 화자된 부분 이다.
신기술은 늘 갈등을 빚어왔다. 19세기 영국에서 일어난 러다이트 운동은 방직기가 발명되면서 일자리를 잃을 위기에 놓인 노동자들이 기계를 파괴했던 과격한 집단행동이자 극단적인 기술 혐오론이었다. 반대의 낙관적 견해도 있다. 지금까지 컴퓨터·인터넷·스마트폰 등 새로운 기술이 등장할 때마다 일자리가 없어질 것이라고 우려했지만, 관련 산업에서 만들어내는 신규 일자리의 수가 더 많아서 궁극적으로는 일자리가 늘어나고 인류 복지가 증진돼왔다는 것이다
과거는 반복되고, 미래는 예견되어 있다.
'일상 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리스마스 선물, 주고받는 것 이상의 의미 (1) | 2023.11.30 |
---|---|
팝콘 브레인, 현대인의 두뇌를 지배하다 (2) | 2023.11.29 |
젠더 대수렴, 2030세대의 새로운 패러다임 (0) | 2023.11.28 |
가성비 보다 "시성비" (2) | 2023.11.28 |
게임 아이템, 현금거래 시장 10조원 육박 (0) | 2023.11.27 |